사전에는 기록(記錄)에 대한 정의를 【명사】【~하다|타동사】 남길 필요가 있는 사항을 적음. 또는 그런 글.이라고 적고 있다.
41호 창고의 이름이 ‘기록 ’소금창고라고 이름 지어진 것은 소금창고 천장 벽에 적인 기록 때문이었다.
▲ 기록 소금창고 천장엥 붙어있는 이곳의 규모를 적은 기록판 © 최영숙
|
41호 ‘기록’ 소금창고 벽면에는 이 창고의 크기가 자세하게 표시되어 있었다. 장 13.60, 폭 8.20, 고 4.20으로 이 창고의 규모를 적어 놓았던 것이다. 이렇듯 창고의 규모를 적어놓은 곳은 사진에 남겨진 45동의 소금창고 중에서 두 동의 창고에서만 만날 수 있었다.
▲ 23번째 아치형 소금창고에 적인 표시 © 최영숙
|
또 다른 기록은 23호 '아치형' 소금창고 대들보 위에 표기되어 있던 장 13.40 폭 8.00 고 3.70이라고 적혀 있었다. 두 창고를 비교해 보면 41호 ‘기록’ 소금창고가 23호 ‘아치형’ 소금창고보다 조금씩 컸다.
이곳 사진을 담으면서 새로운 것을 만나면 가슴이 설렜었다. 창고의 규모를 적은 2동의 소금창고를 만나서 재미있고 반가웠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반가움 중에도 안타깝고 아쉬움이 생겨났다.
아, 기록에 소금창고가 세워졌던 시기가 기록되었으면 얼마나 더 좋았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 그러면 그저 막연히 70여 년 전의 소금창고라고 말하지 않아도 좋을 듯 했기 때문이다.
▲ 2007년 건축물 배치평면 및 계획 (안)에 적힌 실윽현황 © 최영숙
|
2007년 이 창고의 실측 현황을 보여주는 자료에는 이 창고의 크기가 장 13.68과 폭 8.17로 기록되어 있었다.
70여 년 전에 소금창고 기둥에 기록 된 장 13.60, 폭 8.20과의 차이는 불과 0.8과 0.3밖에 차이나지 않았다. 소금창고 사진을 담으면서 창고의 크기를 알려주는 표지와 또 2007년 실측 현황에 나타난 창고의 크기를 비교하는 일이 의미 있었다.
2004년 ‘기록’ 소금창고의 모습에서 지금의 창고를 유추하기는 쉽지 않다.
2009년 시흥시 마을 답사를 하면서 모갈에 사시는 이금노(81) 어르신에게서 염전에 대한 증언을 들었다. 어르신 말씀에 의하면 해방되던 해에도 당시 일본인 마시모도 감독관의 감독 하에 포동의 소금창고는 모두 완공되었지만, 군자 염전에서는 소금창고를 계속 짓고 있었다고 증언하셨다.
1945년 해방이 되면서 마시모도 감독관은 가족과 함께 일본으로 떠났다고 하셨다.
당시 포동의 소금창고가 모두 지어져 있었다니까 현재의 소금창고는 적어도 62년은 넘은 창고들인 것이었다.
어쩌면 저 창고의 벽면에 써 놓은 표시는 마시모도의 지시에 의해서 써 놓은 것인지도 모르겠다는 상상을 했다.
마을 어르신들을 만나는 일이 설레는 것은 흥미진진한 옛이야기들을 듣는다는 것이었다. 당시에 소금창고를 짓는 일에 종사했던 어르신을 만날 수 있어서 귀한 증언을 들을 수 있었다.
'기록' 소금창고 안에서 만난 못 사진을 보면 펄펄 살아 움직이는 듯했다. 이 못 사진을 보면 한용운 님의 '님의 침묵' 시가 떠올랐다. “날카로운 첫 키스의 추억은 나의 운명의 지침(指針)을 돌려놓고 뒷걸음쳐서 사라졌습니다. 나는 향기로운 님의 말소리에 귀먹고 꽃다운 님의 얼굴에 눈멀었습니다.”라는 시 입가를 맴돌았다.
70여 년의 세월을 건너온 못이 아직도 저렇듯 날카로움을 지니고 있는 모습을 보면서 한용운 님의 시가 떠올랐던 것이다. 알 수 없는 일이었다.
소금창고의 다른 못 사진들은 세월을 훌훌 털어버리듯 허허로운 모습이었다면 ‘기록’ 소금창고의 못은 아직도 서슬 퍼렇게 가슴에 박혀서 영원히 떠나지 못할 운명으로 엮는 듯했다. 아직도 그 시린 풍경이 눈에 선하다.
▲ 2004년 빛이 들어오던 기록 소금창고 © 최영숙
|
2004년 창고를 수리하기 전 41호 ‘기록’ 소금창고는 지붕 사이로 비집고 들어서는 햇살이 눈부셨던 창고로도 기억되었다. 듬성듬성 지붕의 틈으로 눈부신 햇살이 들어섰다. 2004년도에는 이곳의 두 창고도 다른 소금창고들과 별반 다를 것이 없이 방치되어 있었기에 옛 소금창고의 모습을 그대로 가지고 있었다.
2004년도에 허허로웠던 41호 소금창고가 수리되어 창고로 쓰이는 현재는 창고 안이 어떠한 모습을 하고 있는지 알 수 없다.
2005년도에 담았던 기록 소금창고의 모습이다. 내만 갯벌로 바닷물이 들어차고 저 건너 왼쪽의 창고가 41호 ‘기록’ 소금창고의 모습이었다. 오른쪽에 있는 '게' 소금창고는 2007년 6월 4일 소금창고가 파괴될 때 부져서 사라졌다. 함께 있음으로 더 풍성했던 풍경은 영원히 사라진 것이다.
▲ 41번째 기록 소금창고 불곷놀이 © 최영숙
|
2006년 시흥갯골축제의 불꽃놀이 속에 남겨진 두 동의 소금창고는 서로 바라보고 있었다.
2007년 9월 소금창고 앞에서 누군가 고추를 말리고 있는 풍경을 만났다. 이제 이 소금창고는 창고와 관리인 사무실로 쓰는 듯했다. 세월은 풍경을 바뀌게 하고 그 사용 용도를 바뀌게 했다. 일반 가정의 마당가 모습을 하고 있는 이곳의 풍경은 새로웠다.
그러나 41호 ‘기록’ 소금창고와 조금 떨어져서 바라본 창고의 이미지는 황량한 사막 같은 풍경을 만들기도 했다. 타일을 걷어낸 염전 자리에는 칠면초들이 듬성듬성 자라고 있었다.
소금창고의 가을 벌판은 풍성했다, 달뿌리풀, 모세달, 사데풀, 산조풀 등 바닷가 습지에서 자라는 식물들이 자라고 있었다. 생물의 군집이 시간의 변경에 따라 변천하여 가는 천이 현상에 따라 이곳은 풍경은 조금씩 바뀌고 있었다. 염기가 사라질수록 사데풀, 갈대, 갯개미취 등이 자라났다.
'기록' 소금창고 앞에서 자라고 있는 해바라기는 가속화 되고 있는 천이 현상을 한 눈에 느끼게 해주었다
.
어린이들이 자전거를 타고 놀았다. 이제 유일하게 남겨진 소금창고 두 동이 어린이들을 보고 있다. 그 많던 소금창고들은 모두 사라지고 두 동의 소금창고만이 무심히 이곳이 변해가는 모습을 보고 있었다.
이곳은 또 어찌 변할지 모른다. 기록하는 일이 두려울 때가 이럴 때이다.
이곳은 어린이들만 찾는 곳이 아니었다. 겨울이 되면 40호, 41호 ‘기억’ 소금창고 앞은 얼음판을 이루고 있었다. 시흥갯골생태공원 안에 있는 염전 소금 채취 및 수차 돌리기 체험장 앞은 얼음판이 되었고 사람들은 썰매를 들고나와 얼음을 지치곤 했다. 어른 아이들이 어린이가 되어 썰매를 탔다. 그것을 바라보는 사람도 어린이가 된 기분이었다.
시흥갯골축제 안내판을 옆구리에 걸친 ‘기록’ 소금창고를 만났다. 소금창고는 변함이 없고 주위의 풍경은 바뀌었다.
▲ 제3경인고속도로 공사중인 소금창고 © 최영숙
|
새로 건설되는 제3경인고속도로의 성토 작업이 이뤄지고 있었다. 이제는 이곳에서는 창고의 모습을 볼 수가 없다.
소금창고를 사진에 담으면서 비슷한 창고들이었건만 창고들마다 기억들이 모두 달랐다. 지난 6년 동안 그 사소함과 미세한 다름을 기록했다. 또한 앞으로도 이곳의 변화가 어떠하던지 그 기록은 이어질 것이다. 본인 외에도 이곳의 모습을 많은 이들이 기록에 남겼을 것이다. 그 기록들이 풍부할수록 후대의 사람들은 이곳을 더욱 자세히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하기에 사진을 담으면서 다양한 풍경을 담고 싶은 바램이 강했고 늘 부족함에 조급했었다.
'41호 기록 소금창고'뒤로 해가 넘어가고 있었다. 날이 밝아오면 이곳에서 오늘의 태양을 볼 것이다. 그 오늘을 기록할 것이다. 그 오늘들은 다시 기록으로 남겨질 것이다.
|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