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호 불꽃놀이 소금창고'

<연재>소금창고를 복원하다

최영숙 | 기사입력 2009/09/22 [02:37]

'40호 불꽃놀이 소금창고'

<연재>소금창고를 복원하다

최영숙 | 입력 : 2009/09/22 [02:37]

▲ 2006년 제1회 시흥갯골축제 불꽃놀이     © 최영숙

 

소금창고에서 불꽃놀이를 만나기는 힘든 일이었다. 2006년 '제1회시흥갯골축제'를 하면서 소금창고에서 불꽃놀이를 했다. 70여 년의 소금창고 역사에서 처음 있는 일일 듯했다. 시흥갯골축제를 하면서 불꽃놀이를 한다는 소식을 듣고 개막식과 폐막식의 마지막 순서가 되면 소금창고로 달려갔다. 이곳의 다른 모습을 사진에 담고 싶었던 것이다. 붉게 타오르는 창고의 불꽃을 보면서 새로운 모습에 감탄을 했다. 

사진을 담다 보면 이율배반적인 경우가 많다. 이곳에 사는 생명들이 놀라겠다고 걱정이 되면서도 또 이곳에서 못 보던 풍경을 볼 수 있다는 생각에 가슴이 뛰는 이 이율배반의 마음은 과연 무엇일까 싶었다. 

2007년 '제2회시흥갯골축제'의 불꽃놀이 모습은 좀 몽환적인 분위기를 보여주었다.

아무도 없는 캄캄한 곳에서  사진을 담았던 그날이 떠올랐다. 저 멀리 행사장에는 많은 관중들이 불꽃놀이가 시작되면서 환호를 보내기 시작했다.  몰려드는 모기와 쐬기에 물려서 긁던 기억이 새롭다. 벌레에 물린 상처가 날이 지나도 가시지 않고  부풀어 올라서 병원 치료를 받았던 2007년의 여름이 떠올랐다. 사진을 보는 것만으로 온몸이 가려워졌다. 사진을 보면 그 당시의 상황이 그대로 떠오른다. 모든 일에 잊기를 잘하는 요즘도 옛 사진을 보면 그때의 정경이 떠오르는 것을 보면 가끔은 자신이 신기해지기도 한다. 각인된 기억은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2008년 제3회 시흥갯골축제 불꽃놀이     © 최영숙

 

2008년 '제3회시흥갯골축'제 때의 불꽃놀이 사진이다. 40호 소금창고가 ‘불꽃놀이’ 소금창고라는 이름을 얻은 것은 2006년 '제1회시흥갯골축제'부터 담은 이곳의 불꽃놀이 사진 때문이었다.  2008년을 마지막으로 불꽃놀이 사진은 담을 수 없었다. 2009년 '제4회시흥갯골축제' 때는 행사가 축소되어 더 이상의 불꽃놀이는 볼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아쉬운 마음과 뭇 생명들이 조금은 편했겠다는 안도감이 겹쳐졌다.  다시 이어지는 이율배반이었다.
 

▲ 2007년 시흥갯골축제에 당나귀와 소금창고     © 최영숙


2007년 시흥갯골축제 때는 당나귀들이 참석자들을 실어 날랐다.  40호 소금창고는 가만히 있어도 주위에서 계속 다른 풍경들을 만들어 주고 있었다. 
 
'불꽃놀이 소금창고'의 또 다른 특징은 소금창고의 모습과 어울리지 않게 소금창고에  안테나가 있기 때문이었다. 어색하고 맞지 않는다는 생각을 했다. 보존과 사람들의 편의와는 늘 상충된다는 생각을 했다. 

그러함에도 이제 겨우 2동 남은 소금창고의 모습에 새로운 모습들이 더해져서  바뀌는 모습은 보기 좋지 않았다.  아주 사소한 것까지도 원형에 맞게 해야 옳기 때문이었다.
 

▲ 2004년 40번째 소금창고 안     © 최영숙

 

 2004년의 창고에서 지금의 모습을 생각하기는 힘들다. 38호, 39호 소금창고가 철거되고 소금을 저장하는 소금창고가 필요해졌을때 2동의 창고를 개조해서 현재의 소금창고를 만들었던 것이다. 

벽과 지붕은 예전에 있었던 소금창고에서 뜯어다 붙였다. 그래서 이 창고는 원형에 가장 가깝고 또 나름 손을 댔기에 원형에서 조금은 바뀌었다. 소금창고들이 파괴되었을 때 파괴된 소금창고의 나무 벽과 지붕들이 쓰레기로 처리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분통이 터졌던 기억이 새롭다. 
 
완벽한 소금창고의  모습도 아름다웠지만 세세히 들어서면 소금창고 나무 벽의 다양한 문양들과  양철지붕의 색감이 주는 아름다움을 잊지 못하기 때문이었다.  사진을 담으면서 그 아름다움에 탐이 나면서도 이곳에 있을 때 가장 아름답다는 생각에 늘 바라보고 있던 보물들이 쓰레기로 처리됐을 때의 마음은 너무나 참담했다.  그냥 슬쩍 거둬둘 걸 그랬나 하는 후회하는 감정까지도 밀려들었었다.
 
이제는 생태공원 안에 있어서 파괴되는 화를 면했던 이 창고들이 수리를 하게 될 때 옛 벽면과 낡은 양철지붕들을 어디서 구할까 걱정이 되었다.  
  

아주머님이 소금을 담고 있었다. 시흥생태공원 안의  소금은 지하에서 끌어올린 짠물로 소금을 만들었다. 어린이들의 체험학습장이 되고 방문객에게는 이곳에서 직접 만든 소금을 선물로 가져가게 했다. 이곳의 소금은 깨끗하고 먹으면 소금의 맛이 달았다.  소금이 좋았던 것이다. 이곳  40번째 불꽃놀이 소금창고는 이 창고들 중에서 생생히 살아있는 유일한 소금창고인 것이다.  
 

▲ 2008년 연날리기 기네스북 도전     © 최영숙


2008년 '제3회시흥갯골축기간에 광복절 기념 연날리기 세계 기네스북 도전이 있었다.

김형인(52)님이 30여 명 자원봉사자들의 도움으로  2.5미터 연이 555개 올라갔다. 1,387.5미터를 올라가서 기네스북 도전에 성공하였다. 기네스북 성공을 위해 모두 합심하는 모습을 보면서 잔잔한 감동을 받았다. 그 뒤에도 40번째 불꽃놀이 소금창고 앞에서는 많은 행사들이 치러졌다. 

2008년 시흥갯골축제 기간 중에 심봉진(한국화가)과  이남근(설치미술가)의 행위예술 삶-갯골이 있었다.

 

▲ 2008년 시흥갯골축제에서 심봉진과 이남근 행위예술을 하다     © 최영숙


시흥갯골생태공원에서의 행위예술에 대하여 심봉진 화가는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시흥시 갯골은 우리나라에서 얼마 안 남은 내만 갯골이다. 이번 작품은 시흥갯골을 추억하며 점점 사라져 가는 갯골과 갯골에 살고 있었던 생물체에 대한 고마움, 미안함을 표현하려고 작품을 기획하였다. 온몸에 하얀 칠을 한 행위자와 우산 그리고 안경 등은 현실을 나타내며 갯골 한 바퀴를 돌며 하는 행위는 자연에 대한 그리움을, 장승과 솟대 그리고 행위를 하며 바르는 머드는 갯골에서만 나오는 원초적인 사랑을 나타냈으며, 시흥을 상징하는 연꽃과 더불어 자연 회귀를 표현하였다”라고 했다. 
 
시흥을 깊이 사랑하는 작가의 마음이 느껴졌다.

▲ 김문수 도지사 방문하다     © 최영숙


이곳을 방문하고 기억하는 사람은 예술가만이 아니었다.  이연수 전 시장의 안내로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이곳 소금창고를 방문했다. 이곳의 소금창고들이 모두 파괴된 뒤여서 어떤 대화들이 오갔을까  궁금했다. 이곳 소금창고에서는 모든 사람들의 행동이 늘 반 박자씩 늦는다는 생각을 했다.  

▲ 공연하다     © 최영숙


소금창고 앞에 만들어진 무대에서는  김동규의  ‘10월의 어느 멋진 날에’가 불렸다. 그 많던 소금창고들이 모두 파괴되고 나서야 이곳이 메인 무대가 되었다.  옛 풍경의 아름다움을 보아왔던 사람은 씁쓸한 감정을 지울 수가 없었다.  

 

▲ 장곡동 방향에서 들어서다     © 최영숙


장곡동 시흥 경찰서 쪽에서 섬산 방향으로 들어오면 곧게 뻗은 농로 길을 만날 수 있었다. 멀리 태산 아파트와 학미산이 보이고 40호, 41호  소금창고가 보였다. 

 

▲ 제3경인고속도로 관통하는 공사를 하다     © 최영숙





▲ 제3경인고속도로 공사현장에서 바라본 소금창고    © 최영숙


2007년 10월 제3 경인고속도로의 공사가 한창 진행되고 있었다. 이른 아침 덤프트럭 2대가 흙을 뿌리고 있었다. 제3경인고속도로가 건설되면서  장곡동에서 바라보는 풍경이 끊기게 되었다. 도로의 높이가 소금창고를 덮었던 것이다. 이곳은 도로가 나면서 완전히 두 개의 권역으로 나뉘게 되었다.  시흥갯골생태공원과 단절된 느낌을 주었다. 아쉬웠다. 

2007년 가을 추수가 한창이었다. 월곶으로 가는 도로에서 바라본 소금창고였다.  도로에서 볼 수 있었다. 
 

▲ 2008년 제3경인고속도로 도로가 성토되어 월곶 도로 방향에서 보이지 않는다     © 최영숙


2009년 8월에 도로 위에서 바라보았다. 이제는 어느 방향에서도 소금창고들이 보이지 않았다. 높이 쌓은 도로로 인하여 이제 갯골생태공원과 이곳 장곡동에서 바라보는 풍경은 단절되었다. 지금은 개통이 되지 않아서 그 단절감이 덜하지만 제3경인고속도로가 개통되면 그 단절감이 더욱 심하겠다는 생각을 했다. 
 

깊어가는 가을 코스모스를 배경으로 두 동의 소금창고는 그렇게 구염전을 지켜내고 있었다.  

 

▲ 멈춰선 수차     © 최영숙


겨울이 되었다.  수차가 멈췄다. 봄이 되고 날이 따스해지면 고물고물한 어린이들이  이곳에 올라 수차를 돌릴 것이다. 그 어여쁜 아이들의 웃음소리를 수차가 가만히 품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날이 더워지면 한껏 터지리라는 생각이 들었다. 

▲ 갈대산책로와 소금창고     © 최영숙

 

소금창고의 문도 굳게 닫혔다. 겨울이 되면 이곳은 휴업이다. 그저 새들만이 날고 가끔 산책하는 사람들과 운동하는 사람들을 만날 뿐이다. 

▲ 소금창고 눈내리다     © 최영숙


근래에 들어 소금창고의 치장이 많아졌다. 소금창고가 파괴되고 이곳의 창고들이 그만큼 소중해졌다는 뜻일 것이다. 진정한 소금창고의 아름다움은 오롯이 혼자 있을 때가 아닐까 생각했다.   너무 많은 치장은 오히려 시선을 방해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 2009년 8월 6일 소래고 시흥도보순례중에 소금창고를 드르다     © 최영숙


2009년 8월 6일 소래고 시흥 도보 순례단이 '40호 불꽃놀이 소금창고'에서 기념사진을 담았다.
 
소래고 출발 - 관곡지- 호조벌- 시흥갯골생태공원- 시흥 시청 해산까지의 길을 밝게 웃으며 걷는 학생들을 보면서 참 아름다운 학생들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직접 몸으로 체험을 해야 내가 딛고 있는 땅에 대한 사랑이 깊게 새겨진다.  저 학생들이 아름다운 시흥의 모습을 가슴에 담기를 바랐다. 그러면서 우리 세대는 저 학생들에게 과연 무엇을 전해줄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45개의 소금창고 중에서 현재 남겨진 것은 2동뿐이다.  소금창고를 끝내 지켜내지 못한 것에 미안한 마음이 드는 날이었다.

밤이 되었다.  달이 떴다. 차분해지는 시간이다. 이 시간대의 소금창고는 가장
안정된 모습을 보여주는 시간이 되었다.  
 
또한 외부인은 이제는 이곳에서 나가야 할 시간이었다.

 

▲ 불꽃놀이     © 최영숙


소금창고들이 복원되는 날이 오면 그날은 소금창고 앞 포동의 너른 벌판에서 한판 거나하게 시민들과 풍물패들이 신명나게 어우러져 놀고 하늘에서는 불꽃놀이를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날 하루만큼은 갯벌의 뭇 생명들에게 시끄럽게 굴어서 미안하다고  말하지 않아도 될 듯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소금창고 관련기사목록
주간베스트 TOP10